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게임), date=2024-10-13, title=hatsune-miku-colorful-stage, critic=-, user=8.5)] [include(틀:평가/Google Play, date=2024-10-13, id=com.sega.pjsekai, score=4.8, count=12.2만)] [include(틀:평가/App Store, region=jp, date=2024-10-13, title=プロジェクトセカイ-カラフルステージ-feat-初音ミク, id=id1489932710, score=4.7, count=107.1만)] 출시하자마자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면서 모바일 리듬게임의 시장을 급격하게 변화시킨 게임이다. 유사한 장르의 가상 아이돌 리듬 게임 중에서 가장 큰 흥행 성적을 보이는 중으로, 기존에도 상당히 좋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1주년을 기점으로[* 이때 이틀 연속으로 매출 1위를 차지했다.] 더욱 성장해 꾸준히 앱스토어 다운로드 랭킹 상위권, 200만명 이상의 압도적인 액티브 유저수를 유지하고 있다. 막강한 보컬로이드 IP, 깔끔한 UI와 최적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저층의 니즈를 충족했다는 점이 호평받는다. 우선, 매력적인 캐릭터들과 스토리, 3D MV의 안무, 독자적인 버추얼 라이브 등의 통상적인 아이돌 리듬 게임 유저들이 즐길만한 컨텐츠가 많고, 이지층부터 리듬게임 헤비 유저들까지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5개의 악곡 난이도, 다양한 형태의 채보를 갖추어 리듬 게임 자체로도 잘만들어진 게임이라 평가받는다. 일각에서는 게임 시스템적인 부분에서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개선 버전+리듬 게임 플레이 스타일은 [[CHUNITHM]]의 모바일 버전 같다는 평가도 있다.[* 그도 그럴게 뱅드림을 제작한 크래프트 에그의 자회사와 츄니즘 개발사인 [[SEGA]]가 공동개발한 게임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형태만 비슷할 뿐, 리듬게임적으로 완전히 다른 게임이라 볼 수 있다. 오히려 홀드 끝판정이나 연속 노트 긁기, 플릭 처리 등의 리겜적 시스템은 상술한 뱅드림에 더 가깝다. 마스터 37레벨의 보스곡인 [[What's up? Pop!]], [[야미나베!!!!]], [[인생(VOCALOID 오리지널 곡)|인생]]마저도 츄니즘식 고레벨 채보들과 비교하면 완전히 채보 스타일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5년도에 왓섭팝 마스터 채보를 그대로 츄니즘에 박은 WE채보가 츄니즘의 프로세카 대비 훨씬 널널한 판정이라는 환경에서도 준별격 라인인 4☆를 배정받은 것을 보면 얼마나 두 게임의 채보 방향성이 다른지 알 수 있다. WE의 ☆은 난이도가 아닌 '''얼마나 정상적인 채보의 범주에서 벗어났는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 다양한 VOCALOID 프로듀서를 기용한 수준 높은 오리지널 곡 라인업 역시 호평. 보컬로이드 문화가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만큼 풀 버전을 공식 유튜브 채널에 무료로 공개하거나, 담당 작곡가들이 버추얼 싱어 버전을 개인적으로 별도 공개하는 것 또한 자유롭게 허가하는 등의 정책으로 기반을 두고 있는 보컬로이드 씬 자체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실제로 게임이 발매된 2020년 10월 시점 이후의 보카로 관련 히트곡 중 프로세카 오리지널 곡의 지분은 상당히 큰 편. 현역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프로듀서들 이외에도, [[토아(프로듀서)|토아]]나 [[Junky]], [[사사노말리]], [[나츠시로 타카아키]], [[피콘(프로듀서)|피콘]], [[유기산]], [[키타니 타츠야]], [[후루카와 본점]], [[스코프(프로듀서)|스코프]] 등 각자의 작곡가 활동이나 싱어송라이터 활동 등으로 오랜 기간 VOCALOID 관련 활동에 공백기가 있었던 프로듀서들을 기용해 오랜만에 복귀시키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퀄리티 높은 일러스트와는 별개로 인게임 의상 모델링은 영좋지 않아 유저들이 아쉬워하는 반응을 종종 보인다. 원래 그 의상의 주인이 아닌 캐릭터한테 어나더 색상의 의상을 입히거나 원하는 멤버를 편성해 MV를 시청할 수 있는데, 여캐의 경우엔 상대적으로 괜찮은 편이지만 남캐 의상의 경우 괜찮은 의상이 손에 꼽을 정도로 멀쩡한 옷을 고르기가 어렵기에 의상을 돌려써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이렇게 의상을 돌려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지덕지라고 봐야할 수도 있다. 당장 [[앙상블 스타즈!! Music|앙스타]]에서는 이런 어나더 의상 제작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 헤어 모델링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아오야기 토우야|토우야]]가 세 번이나 희생양이 되었다. 각종 스토리에서 주연으로 활약하는 캐릭터 조합을 특정 캐릭터들로만 짝을 지어 고정해 내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며, 이는 특히 [[Vivid BAD SQUAD]]와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두 유닛에서 크게 두드러진다. 유닛 외의 조합을 다루는 합동 이벤트 또한 2주년 이벤트를 통해 모든 오리지널 유닛이 한 자리에 모여 만남을 가지긴 했으나, 아직 말 한 마디 못 나누어 본 조합도 많다. 세카이 버전과 일부 어나더 보컬의 버추얼 싱어 버전은 대부분 크립톤의 자체 기술인 NT 기술로 조교되고 있는데, 크립톤의 조교가 옛날 보컬로이드 특유의 기계감이 많이 남는 조교라 이 역시 불호 의견이 압도적이다. 특히 [[메구리네 루카]], [[KAITO]], [[MEIKO]]가 참여한 곡들은 조교 상태가 매우 안 좋아 보인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노래 컷팅에 대해서도 별로 평가가 좋지 않은 편인데, 곡이 어색하게 연결되거나 하이라이트 부분을 빼버리는 경우는 다반사고, [[마트료시카(VOCALOID 오리지널 곡)|마트료시카]]처럼 중반부에 아예 갑자기 끊어버리거나, [[마셜 맥시마이저]], [[혼자 놀이 엔비]]처럼 지나치게 짧게 커팅하거나, 풀버전이 3분도 채 안되는 곡들[* [[메스머라이저]], [[Shadow Shadow]], [[오버라이드]], [[테토리스]], [[니힐 씨]], [[살다(CeVIO 오리지널 곡)|살다]] 등. 다만 [[둔갑의 꽃]], [[D/N/A]]같이 2분 전후대의 노래는 풀버전 그대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을 억지로 커팅해버려서 부자연스럽게 만드는 등 혹평이 많다. 특히 이 문제는 2024년 하반기 ~ 2025년 상반기부터 두드러기지 시직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짧은 러닝타임을 가진 노래는 컷팅 없이 풀버전으로 수록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88☆彡]], [[하극상(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하극상]], [[큐트한 그녀]], [[강풍 올백]], [[의학(UTAU 오리지널 곡)|의학]], [[Kanaria]]의 곡들([[KING(VOCALOID 오리지널 곡)|KING]], [[엔비 베이비]], [[취한 줄을 모르고]], [[QUEEN(VOCALOID 오리지널 곡)|QUEEN]]) 등.]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